로고

 

일반 Bach의 b단조 미사곡(1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홍보위원회
댓글 0건 조회 94회 작성일 25-10-18 17:32

본문

Bach의 b단조 미사곡(1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b단조 미사곡 전25곡을 제1부(1곡~9곡)와 제2부(10곡~25곡)로 나누어 소개하겠습니다 .

 

 미사곡은 Bach 음악의 모든 요소를 높은 수준으로 결합한 원숙한 작품으로 볼 수 있으며 

바흐 음악이 가지는 '보편성'은 이 작품에서 가장 순수한 결실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Bach b단조는 종교 음악가로서의 바흐의 활동의 총결산을 보여주는 불멸의 금자탑입니다. 그것은 '바흐가 30년에 걸쳐 써 온 여러 양식의 백과 전서'(Robert L. Marshall)이며 바흐 음악의 모든 요소를 초연한 높은 수준으로 결합한 원숙한 작품입니다. 바흐 음악이 가지는 '보편성'은 

이 작품에서 가장 순수한 결실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또 ‘b단조 미사’는 바흐의 종교 음악 중, 극히 특이한 위치를 

점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

1

Kyrie eleison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b단조. 4/4박자)

깊은 동경으로 탄생된 제1Kyrie eleison은 “Tutti” 총합주의 서주에 이어, 합창이 진지한 기도 소리를 터뜨리는데 이부분의 선율은 독일 미사의 코랄 선율에 의거한 것이며 5째마디부터는 관현악의 전주를 거쳐 선이 굵은 주제에 의한 감동적인 5성부의 푸가형식으로 장대하게 전개됩니다.

 

2

Christe eleison 그리스도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D장조. 4/4박자)

삼위 일체의 제2위격인 그리스도의 기도가 바이올린의 오블리가토를 수반한 소프라노의 2창으로 노래됩니다. 3도와 6도의 병행을 주제로 한 감미로운 

울림은 이탈리아의 갤런트 양식에 접근한 것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의 정념 affetto amoroso'에다 동경을 담아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2곡 “Christe eleison 그리스도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는 희망과 확실한 신뢰로 근본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있습니다

 

b단조 미사는 Bach의 종교 음악 중, 극히 특이한 위치를 점하는 작품이기도 한데 그것은 'Kyrie'에서 'Anus dei'까지라는 카톨릭적인 '완전 미사 Missa tota'의 형태는 다른곳에서 그 유형을 찾아볼 수가 없고 전체의 곡이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예배나 카톨릭 교회의 미사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도는 볼 수 없는데 

그것은 전체가 너무 장대하며 카톨릭의 전례문과는 다른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약간의 어구가 전례문과 상위(相違)하고 있다는 점 등, 순수한 카톨릭교회 음악에서는 벗어난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3 Kyrie eleison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입니다 f#단조. 4/2박자.

성부진행이 엄숙한 기도의 느낌으로 되어있으며 Kyrie는 장중한 옛 양식에 의한 4성 푸가이며 나폴리 6도에 의한 주제와 순수함과 

아름다움으로 가득차 있으며 성부진행은 엄숙한 기도의 인상을 보여줍니다.

 

4

Gloria in excelsis Deo 하늘 높은 곳에 계시는 하느님께 영광 있으라“ D장조. 3/8박자.

 1742Bach자신이 쓴 칸타타 작품 191의 제1곡에도 사용되었던 곡입니다.

Kyrie 두 곡이 b단조 3화음의 각 음을 으뜸음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Gloria의 여덟 곡에서는 밝은 D장조가 주축이 되는데 우선 3개의 트럼펫과 

팀파니를 포함한 관현악이 연주하기 시작하고, 합창이 이 악장을 이어받아 하느님의 찬미를 진행시킵니다(여기서는 하느님의 상징으로 

3박자가 취해지고 있습니다). 100마디부터 음악은 새로운 부분으로 들어가고 땅을 상징하는 4박자에 의하여 지상의 평화는 기원되어지고 

e단조의 차분한 악장을 거쳐 4성의 푸가가 일어나며, 금관합주군이 다시 되돌아와 장대한 클라이맥스가 구축되어갑니다.

 

5

Laudamus te 우리는 그대를 찬양하여’ A장조. 4/4박자.

독창과 독주 바이올린이 서로 경쟁하듯이 하느님을 찬양한 제5 Laudamus te는 독주 바이올린과 제2소프라노 독창이 협주하는 

아리아로 현악기를 배경으로 하여풍부한 장식을 가진 패시지가 찬미의 열렬한 마음을 전합니다.

 

6곡 “Gratias agimus 감사를 드립니다“ D장조. 4/2박자.

Bass를 선두로 대위법적인 4성 합창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1731년의 칸타타 '하느님이시여, 우리들은 당신께 감사합니다 ' 의 작품 29의 

2곡에서 따온 것이며, 곡은 두 개의 주제가 고조되고, 그 정점에서 금관의 최고음인 트럼펫이 드높게 울려 퍼집니다.

 

Bach b단조 미사곡은 4개의 개별적인 악곡의 집합으로, 전체를 통일적인 작품으로 간주할 만한 논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b단조/D장조의 조성적 통일이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는 점이나, 6곡의 악상이 제25곡에서 순환적으로 회귀한다는 점에서 보면

Bach가 전곡의 통일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7

Domine Deus, Rex coelstis 주님이신 하느님, 하늘의 왕“.G장조. 4/4박자.

Flute의 오블리가토와 현악기의 반주를 가진, 1 Soprano Tenor 2중창. 2중창은

'아버지이신 하느님' '독자이신 그리스도' 2격을 상징하는 것이며 Flute이 연주하는 선율에는 당시 새로이 유행하게 된 롬바르디아 리듬의 모습이 보이고 있고 이 악장은 1727년의 세속 칸타타 '그대들 하늘의 집들이여 Ihr Hau"ser des Himmel' 작품 193a 5곡을 원곡으로 하고, 나중에 작품 191의 제2곡에도 사용되었습니다.

 

8

Qui tollis 세상의 죄를 제거하시는 자여“ b단조. 6/8박자.

8곡은 여리고 애처로운 매력으로 되어있으며 조성이 b단조로 바뀌고, “세상의 죄를 제거하시는 자여“의 기도로 곡은 전개 되는데 

1소프라노를 생략한 4성 합창이 조용히 전개되고, 현악기의 반주 위에서 2개의 Flute이 카논풍으로 아름다운 장식을 입혀 갑니다.

 

9

Qui sedes 아버지의 오른편에 앉으신 자여" b단조. 6/8박자.

현악기의 반주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Oboe d'amore가 마음에 스며드는 듯한 오블리가토를 연주합니다

Elto Aria는 전주와 간주에 의하여 3개의 부분으로 나뉘고, 에코 효과가 훌륭하게 색채를 더해 주며 곡은 전개 됩니다.

============================================ 

Bach의 b단조 미사곡(1부)소개는 마치고

나머지 제10곡~제25곡은 다음장에 소개하겠습니다 

 

                                                                                                 -  홍보위원장  이경진 아오스딩  -